반응형

챗봇 개발 2

2024년은 다르게 시작해보자

내가 좋아했던 개발이 무엇이였는지 되찾기 학창시절 메이플스토리를 열심히 즐기면서 당시 전섭 호영 랭킹 100위권 안으로 빠르게 275를 찍었던 기억이 있다. 무릉도장 10위권에는 무조건 들고, 운 좋으면 3위권 안에 들어 장갑보상을 받을 뻔도 하였지만 그런적은 없었다..ㅠ 게임을 하는것은 정말 즐거웠으나 사냥이 지루해도 너~~무 지루했다. 그래서 매크로를 만들어 사냥을 자동화 시켜볼까? 하면서 개발을 했을때가 덕업일치의 흥분을 느꼈던 개발 경험이였다 생각한다. 회사에 들어와서 일을 해보니 생각보다 재밌는 부분이 많다. 컨텐츠 제작에 하루종일 씨름하다보니 정신을 차리고보면 퇴근시간이 코앞일때도 있고, LLM의 경우 정형화 된것이 거의 없다보니 미지의 세계를 연구하는 기분이 들 때도 있다. 짧지만 이런 경험..

chat 2024.01.02

WIZnet Chatbot 개발 일지 - 제품 이름 환각현상 해결하기

안녕하세요 민윤홍 입니다. 오늘은 WIZnet에서 서비스중인 WIZnet Chatbot의 개발 과정을 살짝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Chatbot을 개발할 때 가장 중요시 해야되는 점은 hallucination, 환각현상 입니다. 특히 기업의 챗봇의 경우 모르는 정보를 마치 사실인 마냥 제공하는 행위는 기업의 이미지와 가치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WIZnet의 경우에도 환각현상을 피해갈 수는 없습니다. 저희 회사 Chip제품 명의 경우 W5500, W5500EVB,W5100S, W6100등 이름이 유사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hallucination을 발생하기 딱 좋은 상황입니다. 환각현상이 일어나는지 GPT에게 이 세상에 없는 제품인 W6300, W6500을 물어보았습니다. 이..

Tech 2023.12.29
반응형